동충하초란
동충하초(冬蟲夏草)란 균(곤충 병원균)이 곤충의 몸속에 침입하여 곤충의 체내 영양분을 이용하여 버섯의 자실체를 만들고 그들의 자손을 퍼뜨리는 종류를 말한다. 이로 인해 곤충은 결국 죽게 되며, 대신 그 자리에 동충하초가 새롭게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동충하초는 외관상 곤충의 형태로 존재하면서 동시에 곤충의 체내에서 버섯을 형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불가사의한 생물 중의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동충하초류는 분류학적으로 자낭균류에 속하는 균류들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그 중 동충하초속(Cordyceps)이 가장 큰 무리를 이루고 있다. 또한 동충하초류 중에는 절지동물 혹은 균핵(Elaphomyces속)에 침입하여 자실체를 만드는 종류도 포함되어 있다. 동충하초류는 전 세계적으로 580여 종이 알려져 있고, 일본에서는 300여 종, 중국에서는 100여 종, 우리나라에는 80여 종이 기록되어 있다. 동충하초류는 발생하는 모습에 따라 3가지 형태, 즉 땅속의 숙주 곤충에서 발생하는 지생형(地生型), 바위나 나무의 수간 또는 나뭇잎에 착생하여 발생하는 기생형(氣生型), 썩은 나무 속에서 발생하는 부생형(腐生型)으로 나누어진다. 또 그들의 번식 방법에 따라서 유성생식을 하는 완전형(完全型)과 무성생식을 하는 불완전형(不完全型) 2가지로 나뉘기도 한다. 예부터 동충하초류는 동양권에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중국에서 발견되는 동충하초는 Cordyceps sinensis (Berk.) Sacc.이고,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동충하초는 Cordyceps militaris (L. : Fr.) Link로 이들은 서로 종이 다르다. 최근에는 후자를 번데기동충하초로 개명하긴 하였으나, 우리에겐 아직도 동충하초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동충하초는 중국의 시짱(西藏), 칭하이(靑海), 쓰촨(四川), 윈난(雲南), 간쑤성(甘肅省) 등 해발 3,000`~5,000m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동충하초가 칭하이와 쓰촨 및 시짱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데, 동충하초 500g당 1만 5,000~3만 위안에 거래되고 있다. 이 균류의 숙주는 편복아과(편복蛾科) 박쥐나방류인 Hepialus armoricanus Oberthur 유충이다. 이 유충은 우리나라에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충하초류의 한글 이름
동충하초류의 한글 이름은 주로 균이 숙주로 살아가는 곤충의 이름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다. 곤충의 성충에서 자실체가 발생하는 것은 쉽게 곤충의 이름을 알 수 있으나, 곤충의 번데기 형태에서 발생하는 것은 곤충의 정확한 이름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절지동물이나 균핵에서 만들어지는 종류들은 이름을 따르거나 외형적인 특징을 살려서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한 예로, 절지동물은 거미동충하초, 원형의 번데기에서 만드는 붉은자루동충하초와 균핵에 동충하초를 만드는 균핵동충하초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충하초류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동충하초류는 여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버섯의 크기가 작은 부류에 속하기 때문에 매우 유심히 관찰해야만 찾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흔히 볼 수 있는 동충하초류는 노린재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 동충하초(번데기동충하초) 등이다. 이들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여름철 버섯을 채집할 때 자주 볼 수 있는 종들이다. 이 중 노린재동충하초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으나, 그 이외의 동충하초류는 흔히 발견되는 종들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동충하초류는 강원대학교 성재모 교수가 체계적으로 분류하였고, 『한국의 동충하초』라는 도감도 이미 발간되었다. 이 책과 일본학자 시미즈 타이텐(淸水大典)의 『동충하초도감』을 참고하면 동충하초류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동충하초류 중 동충하초와 눈꽃동충하초는 이미 재배법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동충하초류가 현재 인공재배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용충초(용蟲草, C. militaris), 동충하초(冬蟲夏草, C. sinensis), 고니충초(古尼蟲草, C. gunnii) 등의 재배법이 잘 알려져 있다.
동충하초의 효능
동충하초류는 황달, 결핵, 항암, 천식, 중풍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도 보고되어 있다. 『중국본초도감』에는 동충하초가 폐와 신장을 이롭게 하고, 골수(精髓)를 보하고, 지혈과 거담작용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중국의 동충하초는 폐결핵, 병후허약, 정력감소, 유정(遺精), 빈혈 등의 치료약으로 처방하고 있다. 『중국약용진균』에는 균핵동충하초가 여성의 월경불순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