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구들

[스크랩] 무운의 구들, 돌집짓기

강토백오 2012. 1. 16. 22:31

이 번 겨울에 양양에 가서 집짓는 교육을 받으면서 

그곳 교장선생이 지은 <오행과 팔현으로 구들돌집 흙집 짓는 법>을 교육하면서

 책도 한권 구입했다.

내용이 예찬이나 이론서에만 그친 것이 아니고 실제로 내용과 도면과 사진을 보면

누구라도 훌륭한 집을 지을 수 있게 만든 책이다.

선생의 카페에 연제되는 1편을 옮겨와 그 목차를 올려본다.......   옴샨티

 

구입처:무운 구들연구소 홈피 http://www.gudeul.net/ 

 

 

내가  쓴 원고가 책으로 완성된다면 과연 몇페이지가 될 것인가를 가름 해 보기 위해 원고를 보냈더니 편집을 담당한 분께서  PDF(인쇄를 할 수 있게 편집된 것)에 글과 사진 도면을 보기좋게 편집해서  나에게 보내왔다.

942페이지였다.

또 고민하였다. 분량으로 나누어 2권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내용으로 나누어 구들과 집짓기를 나누어 2권으로 할 것인가? 를 고민했다.

편집 담당자와 아내는  2권으로 하자 하고 나는 1권으로 하자 했다.

책을 너무 여유가 없이 빡빡하게 하면 책을 보기에 지루하고 멋이 적다고 하고

나는 그래도 1권의 책으로 해서 절음발이는 되지 않게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는 책을 내기위해 집 한체를 다시 지어면서 가장 아래 기초밑의 구들 아궁축조부터 해서 내용이 살아있고 현장감있는 내용이 되게 신경을 썼으므로  1권으로 고집했다. 그리고 2권이면 구매자에게 부담이 더 크기에 1권으로 하기로 했다.

그래서 사진 크기도 줄이고 교열의 칸도 줄여가며 다시 편집해 보니 그래도 700페이지나 되었다.

더 이상 줄인다면 책 내용이 절음발이로 전략할 수 있기에 <집짓기 체크포인트125가지>와 <구들놓기 체크포인트106가지>의 내용을 줄일 수 밖에 없었다.

그동안 내가 <집짓기 체크포인트>라고 해서 카페에 올려 두었는데 많은 회원들이 퍼가서 자기 홈피나 카페 블로그등에 올린 것을 다시 다른 사람이 퍼가서 원작자인 내 이름으로 되지않고 모두 자기들의 게시글이 되어 버렸었다.

이 <집짓기 체크포인트>는 내가 공사현장에서 작업공정표를 분리해서 집짓는 순서에 맞게 나열해서 해석을 붙인 것인데 초보자는 이러한 일의 순서를 찿고 내용을 보아가면서 집을 지어야 재료손실도 적고 허물고 고치기를 줄여 경비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되는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이번에 책을 내면서 이 것을 내것으로 바로 잡기 위해서 특별히 신경을 쓴 것인데 내용을 줄여야 했다.

예를 들면

7, 정화조는 어떤것으로 어디다 어떻게 묻나? (본문 P56에 게시됨)

위와같은 조목만 보더라도 정화조의 종류 가격 위치 설치방법의 내용이 풀어서 게시되는데 그 내용은 P56에 중복되므로 그 곳에 가서 보고 < 집짓기 체크포인트 125조목>의 순서에만 넣어 참고하도록 해서 내용을 생략하는 것으로 하니 책의 총 페이지를 552페이지로 줄이고 종이도 얇으면서 질이 좋아 비치지 않는 좋은 종이로 해서 편집을 했다.

그래도 책이 두껍다.

이렇게 책이 두꺼우면 또 책을 묶을 때  풀로 붙이는 무선철로 하면 가격도 저렴하지만 몇번 책을 펴면 책이 분리된다. 이렇게 두꺼운 페이지는 반드시 하드커버를 딱딱한 표지로 하고 실로 꿰메는 양장본으로 해야 한다.

그래서 총페이지를 552페이지로 하여 만든 책인데 나는 책 목차만 보아도 책의 내용을 가늠되는데 독자들은 어떨지 궁금하다.

 

[오행과 팔현으로 구들 돌집 흙집 짓는 법]

목차

머리말

1장 살림집 짓기에도 철학이 있어야 한다_18

2장 집을 먼저 앉혀보자_20

3장 구들놓기_22

●아궁자리 규준틀을 매다ㆍ22

●좌침관의 구조와 기능ㆍ23

●함실아궁의 축조ㆍ26

●부뚜막아궁의 축조ㆍ26

부뚜막아궁의 규격 / 아궁 철문 달기 / 아궁 만들 때 주의할 점

아궁 위 건물기초 보강 문제

●돔형의 부엌지붕 만들기ㆍ34

●개자리 만들기ㆍ36

개자리의 구조와 기능 / 전면 측면 개자리 / 하층 개자리

          ●항풍구(炕風口) 만들기ㆍ42

          ●여내미 묻기ㆍ43

4장 설계도는 완벽한가?_47

평면도 보기 / 외관 보기 / 증축문제 / 주인과 객의 공간구분 / 난방문제

5장 건물 규준틀 매기와 줄쳐보기_50

●기초하기에 앞서 생각해야 할 점ㆍ51

집의 크기 / 기단의 높이 / 집 앉히기 / 기초 팔 때 바위가 나온다면

기초는 동결선 이하로 파야 한다 / 세로 규준틀에 맞춰 정화조 묻기

세로 규준틀에 맞춰 상하수도 오폐수관 묻기

6장 창과 문 만들기_58

●한옥 문 만들기ㆍ58

팔각 창틀 만들기 / 이음새 없는 둥근 창틀 만들기

실내 환기 차단 문 만들기 / 이음새 없는 사각창틀 만들기

강화유리에 맞는 창틀에 넣기 / 원목으로 사각 창틀 문틀 만들기

이음새 없는 삼각창틀 만들기 / 법륜(法輪)창 만들기 / 팔각창 넣은 출입문

좁은 문 넓히기 / 실내 환기를 조절하는 문 / 무거운 원목 끌어오기9

7장 기초 기단 돌 쌓기_72

기단과 벽체에 쌓는 돌의 크기와 색깔 / 가공석을 미리 준비하자

쉽게 돌 자르는 법 / 돌 다듬는 법 / 장도리정() 사용법

송곳 정() 사용법 / 돌 가공 공구

8장 벽체에 돌 쌓기_76

●수직 수평 보는 법ㆍ80

●건물 외벽 치장 돌 쌓기ㆍ80

반듯한 돌로 쌓는 법 / 2분 높이 돌 쌓기 / 3분 높이 돌 쌓기

대소높이 바른 층 쌓기 / 대소높이 바른 층 쌓기 / 면 마름 돌 바른 층 쌓기

한 반 물림 바른 층 쌓기 / 면 마름 돌 허튼 층 쌓기

얇은 긴 돌 층 지어 쌓기 / 거친 네모 막돌 층지어 쌓기

둥근 벽 층 지어 쌓기 / 어금 수직 줄 눈 바른 층 쌓기

쪼갠 돌 쌓기 / 거친 네모 막돌 쌓기 / 네모 얇은 돌 쌓기

막돌 층지어 쌓기 / 거친 돌 층지어 쌓기 / 네모 막돌 둥근 벽 쌓기

거친 네모 돌 층지어 쌓기 / 얇은 돌 층 지어 쌓기

●얇은 판석으로 외벽 쌓기ㆍ84

다각형 돌 쌓기 / 사구 판석으로 벽체 쌓기 / 편석으로 돌벽 쌓기

●막돌로 쌓는 법ㆍ85

●견치석 쌓기ㆍ86

간사(깬 잡석)와 진흙 벽 쌓기 / 반 토막 둥근 돌 쌓기

●전석으로 돌벽 쌓기ㆍ86

화강암 가공 전석 / 발파전석 / 채취전석

●바닥석 깔기ㆍ87

●방문(方門)돌 쌓는 법ㆍ87

●인방 석보 넣기ㆍ87

●홍예식(虹霓式) 돌 쌓는 법ㆍ88

●다양한 벽체ㆍ90

돌로 된 벽체 / 흙으로 된 벽체

흙과 나무로 된 벽체 / 돌과 흙과 나무로 된 벽체

●찰흙으로 돌벽 쌓는 법ㆍ91

형틀 이용 진흙 돌벽 쌓기 / 편축성(片築城)형 진흙 돌벽 쌓기

흙 형틀에 진흙 돌벽 쌓기 / 돌과 흙과 나무의 조합

돌과 진흙으로 벽 쌓기 / 기와 진흙벽 쌓기

비닐치고 진흙 돌벽 쌓기 / 진흙과 함께 돌벽 쌓기

인충동거형(人蟲同居型) 진흙 돌벽 쌓기10_오행과 팔현으로 구들 돌집 흙집 짓는 법

●감굴(龕窟) 만들기ㆍ95

●계단석 넣어가며 돌벽 쌓기ㆍ98

●기타 돌벽 쌓는 법ㆍ99

돌과 시멘트로 쌓기 / 돌벽에 등잔받이 만들기

돌과 풀의 조합 / 규형(圭形) 돌벽 쌓기

줄 띄고 돌 쌓기 / 퇴물림 돌벽 쌓기

●홍예창문 만드는 법ㆍ102

설계하기 / 형틀 만들기 / 홍예석 자르고 다듬기

거중기로 올려 쌓기 / 홍예창문 완성하다

9장 수평운반구 사용_106

●수직운반 거중기(擧重機)사용ㆍ107

거중기란? / 거중기 설치와 장비 / 거중기 사용법

10장 작업에 필요한 결삭법_111

●각종 결삭법ㆍ112

보울라인 매듭 / 8자 매듭 / 피셔맨 매듭 / 프루직 매듭 / 에반스 매듭

●줄 이용한 돌 운반법ㆍ114

돌을 차량에 실을 때 운반법/ 돌을 쌓을 때 줄 사용법/ 도르래 이용 운반법

11장 지붕 덮기_117

●지붕 형태와 종류ㆍ117

원시 움집의 원추형 / 곧은박공(맞배)지붕

모임(우진각)지붕 / 원형지붕 / 합각(팔작)지붕

●지붕 조립의 순서ㆍ119

●돌 지붕ㆍ126

사각 비늘석 지붕 / 오각 비늘석 / 긴 오각 비늘석

다각 비늘석 지붕 / 원형 비늘석

●흙 지붕ㆍ128

방수하기 / 흙 지붕 물길 터기 / 봉토(封土)지붕

토굴살림집 지붕 / 필자가 지은 흙 지붕

●초가지붕ㆍ132

볏짚 지붕 / 세떼 지붕 / 신우대 지붕

굴피 너와지붕 / 기타 지붕 / 인조 현무암 지붕11

12장 천장하기_139

평천장 / 연등천장 / 삿갓천장 / 우물천장

13장 방수방습하기_141

●방수하기ㆍ141

부엌 주방 바닥 방수 / 벽체방수 / 노출 외벽의 방수 / 처마 방수

처마 밑과 출입구의 빗물처리 / 지붕 방수

토굴 돌집 흙집 방수 / 토굴 방수 / 연못 방수

●방습하기ㆍ147

고래 속의 방습 / 지면 방습 / 방바닥 방습 / 습기 배출과 방습

부엌 벽 방습 / 욕실 벽 방습 / 실내 벽 방습

14장 구들놓기_152

●구들놓기의 진리적 이론ㆍ152

불가의 삼륜 / 오행과 구들(유가의 입장)

삼생(三生)과 구들(선가의 입장)

●팔현과 구들 (필자의 입장)158

필자는 구들놓기의 진리적 이론을 정립했다

필자는 삼륜(三輪)의 특성을 구들에 접목했다

필자는 팔현의 원리에 구들을 접목했다

●필자(無耘)의 구들놓기 순서와 실제ㆍ173

●구들 기능별 나누어 시공하기ㆍ183

불을 미는 구조의 아궁 연소부 / 불을 펴는 구조의 고래 채난부

연기 냉기 온기 분리구조의 굴뚝 배연부 / 하자 없는 구들 마감부

●구들놓기의 허와 실ㆍ207

*()207

굴뚝에 연기 배출기 / 온수난방과 구들난방 겸용

구들장 대용으로 철판 사용 / 고래 바닥에 숯과 소금

전체난방과 부분난방 / 벽난로나 난로를 구들에 접목

고래 속의 한약재 / 방바닥에 공병과 자갈 깔기

*()213

구들장 없이 막돌로 구들놓기12_오행과 팔현으로 구들 돌집 흙집 짓는 법

●구들난방과 건강의 관계ㆍ217

구들난방과 몸의 수승화강 / 구들난방과 정신의 식망현진(息妄顯眞)

구들난방과 몸의 삼초 관계 / 구들난방과 두한족열

●구들을 이용한 온수시설ㆍ221

아궁 위에 열 교환 장치 / 헷다 연결과 온수저장 탱크 장치

팽창관과 팽창탱크 장치 / 온 냉수 배관 장치

●돔형의 돌 부엌 천장 만들기ㆍ225

홍예식으로 기초 보강

15장 미장하기_226

●구조체와 응고체의 배합비율ㆍ226

●벽체 응고체로서의 진흙ㆍ227

흙벽 미장하기 / 볏짚 첨가 미장 흙 / 생석회 첨가 미장 흙

비누 액 첨가 미장 흙 / 돌벽에 미장 흙 / 자갈첨가 미장 흙

소강 첨가 미장 흙(소강의 용도, 소강 종류, 소강 미장)

●각목 엮어 진흙 바르기ㆍ235

●애벌 넣어 미장ㆍ238

●수평줄 치고 방바닥 미장ㆍ238

●심벽치기 후 진흙 바르기ㆍ238

●진흙 쌓기와 벽체 다지기ㆍ239

●방바닥 미장ㆍ239

16장 장판 바르기_241

●종이 장판 바르기ㆍ241

흙방에 종이 장판 잘 붙게 하는 법

●콩물들이기(콩땜)243

●천 장판 바르기ㆍ245

●대나무 장판ㆍ246

●쎄락 흙 장판ㆍ247

쎄락 천 장판

17장 조명하기_248

●돌벽흙집 분위기와 조명ㆍ248

자연적인 조명 / 간접적인 조명 / 인위적인 조명 / 전기 이용 간접조명13

18 친환경 생태 정화조_251

●생태 화장실ㆍ253

19장 동파 없는 지하수_257

●펌프 흡입고 압력고의 원리ㆍ257

배관의 방법 / 자재 및 설치

●필자는 지하수를 이렇게 설치 사용한다ㆍ259

자동절약 장치 / 관리와 운전법

20장 삼륜(三輪)종합 맨홀_262

과 오폐수관 / 불과 전기배관 / 바람과 배습관

21장 담장과 대문 앉히기_264

22 토굴 파는 법_265

●토굴의 종류ㆍ265

지표면에서 아래로 파 들어가는 형식 / 수평으로 파 들어가는 형식

수직 수평 병용 형식 / 굄목을 받쳐가며 파는 형식

우물 파는 형식 / 수평식 토굴파기 주의 점

수직토굴 파기의 주의 점 / 수평 토굴의 통로와 저장 공간

토굴 속 배수로 / 토굴 속 온도 습도 조절 장치

토굴 속 방수 전기 시설 / 토굴 속 통로에 천창내는 법

발효실 토굴의 구조 / 토굴 파는 연장

●수직 석굴 만드는 법ㆍ274

23 봉토석실 짓기_277

●봉토석실(封土石室)이란?277

장소 선택하기 / 봉토 석실의 종류와 축조 방법

벽체 형틀파기 / 출입문 형틀 흙 남기기

출입문 형틀에 홍예 돌 쌓기 / 벽체 형틀 속에 돌과 진흙 물 넣기

지붕 돌 이 맞추기 / 형틀 흙 안전하게 파내는 법

흙 파내는 순서 / 석실천창(天窓)내는 법

다양한 천창(天窓) / 천창에 방충망 설치

봉토석실 완성 / 봉토(封土) 개 집짓기 / 석굴 파는 법14_오행과 팔현으로 구들 돌집 흙집 짓는 법

24장 삼륜(三輪)구들 벽난로_293

* 구들과 비슷하게 만든 나의 삼륜구들 벽난로ㆍ295

* 삼륜(三輪)구들 벽난로 평면도ㆍ299

* 삼륜(三輪)구들 벽난로 정면도ㆍ302

* 삼륜(三輪)구들 벽난로의 장점ㆍ303

* 삼륜(三輪)구들 벽난로 배면도ㆍ305

* 삼륜구들벽난로 우측 단면도ㆍ306

* 삼륜구들 벽난로 좌측 단면도ㆍ308

25장 아자방고래_ 311

* 八玄秘訣(팔현비결)311

* 아자방 고래 성공의 비결 1314

* 아자방고래 성공의 비결 2 318

* 아자방 고래 성공의 비결 3325

* 아자방 고래 성공의 비결 4329

* 아자방 고래 성공의 비결 5332

* 아자방 고래 성공의 비결 6335

* 아자방의 진리적 근거ㆍ338

* 아자방 고래의 구조ㆍ339

* 아자방(亞字房)이란?340

* 아자방 고래 불 유지하는 법ㆍ350

* 필자의 아자고래 축조기ㆍ350

* 아자방 고래 땅파기ㆍ352

* 가열실 아궁 만들기ㆍ353

* 아짜방 고래 벽체 돌 쌓기ㆍ553

아자방 고래 중앙 배연구 만들기 / 아자방 고래 연도 만들

아자방 고래 속은 개자리가 없다 / 아자고래 굴뚝세우

아자방 고래 가열실(아궁) 만들기

* 아자방 십자고래 배연구ㆍ359

아자방고래의 배연문제 / 아자고래의 청소문제

아자방 배연구의 높낮이에 따른 배연의 속도15

26장 집짓기 체크포인트_368

* 대지의 향()과 주변의 좌()의 전경은 어떤가?268

* 경계복원 측량은 하였는가?374

* 진입로에 방해되는 것은 없고 경사도는 완만한가?376

* 절토나 메우기 등 토목공사는?376

* 지하수 개발이나 상수도는 어떤가?378

* 지하수개발 상수도는 어떠한가?384

산중에서 나는 이렇게 물길을 찾는다_384

지하수의 장점과 단점_385

엄동설한에도 물이 얼지 않게 하는 작동원리_386

* 전기 인입은 용이한가?390

* 임시 창고는 어디에 어떻게 짓나?385

* 지방마다 다른 가건물 조례를 알고 있나?394

* 돌벽 흙집의 설계는 완벽하게 하였는가?394

* 어떤 집이 좋은가?401

* 현행법을 이용할 수 있는 설계는 어떤 것이 있나?403

* 집 뒤 증축을 하면 액운이 따른다는데?404

* 기초공사는 어떻게 하나?404

* 정화조는 어디에 어떻게 하나?406

* 하수배관 및 맨홀은 어디에 어떻게 하나?408

* 창호는 어느 재료로 하고 무슨 종류인가?411

* 화로 구입해서 보조 난방 할 수 없나?413

* 흙에 섞을 수 있는 첨가제는 어떤 것이 있나?416

* 흙방에 탕이 나지 않게 장판 바르는 방법은?417

* 한옥 새로 짓고 고태 내는 방법ㆍ425

* 슬레이트 지붕구조 헌집 수리하는 방법ㆍ425

27장 구들놓기 체크포인트_427

* 구들에 대한 잘못된 자료가 범람하고 있다ㆍ427

* 삼륜(三輪; 水火風)이란 무엇인가?429

* 열 방식(열전도, 열복사, 대류)은 잘 알고 있나?430

* 어떻게 해야 아궁의 불을 고래 속에서 펼 수 있나?433

* 옛날과 현재의 구들 놓는 방식의 차이는?437

* 머릿돌 놓기를 고집 말라ㆍ43816_오행과 팔현으로 구들 돌집 흙집 짓는 법

* 열린 공간에서는 불은 위로 오르고 고래 속에서는

* 아궁에서 굴뚝으로 나간다ㆍ439

* 아궁의 허와 실ㆍ441

* 연도 구경이 수평으로 놓일 때는 굴뚝대의

* 배가 되어야 응양조화가 맞다ㆍ444

* 부넹기(부넘이)는 서민 집에는 필요없 다했는데?445

* 구들개자리의 허와 실ㆍ447

* 말도 안 되는 구들개자리를 만들면 센 불이 죽는 거여!449

* 아자방에 대한 진실은 알고 있나?452

* 원형고래 중앙배연구는 좋지 않는 이유는?453

* 방바닥 두께와 축열과의 관계는?458

* 생명을 중시하는 불 지피는 도에 대하여ㆍ460

* 벽난로로 구들방에 접목할 수 있나?460

* 코쿨과 삼륜코쿨의 차이는?462

전통 코쿨 만드는 방법은?_462

삼륜 코쿨 만들기_464

* 방에 자갈을 깔면 좋지 않은 이유?466

* 방에 공병을 깔면 좋지 않은 이유?467

* 고래바닥에 숯과 소금을 넣으면 안 되는 이유?468

* 고래 속에 한약재를 넣으면 안 되는 이유?

 황제구들 일명 매화구들에 대한 나의 견해_469

* 미장 흙을 두껍게 바르지 마라ㆍ471

* 구들과 두한족열, 수승화강, 삼초와의 관계는?472

* 난방의 종류는 무엇인가? 478

* 축열의 따스함은 며칠 가야 하나?480

* 하루 1번 불 때는 방에는 진흙을 두껍게 바르지 말라ㆍ491

* 굴뚝의 높이와 연기 배출관계는?492

* 굴뚝의 높이와 배연관계는?495

* 굴뚝에 부착한 연기배출기는 좋은가?498

* 전통구들의 명칭에 대하여ㆍ500

* 자연적 불펴기(上下)와 인위적 불펴기(左右) 기법ㆍ501

* 복층구들의 허와 실은?50417

* 불목 부분에 자갈을 까는 것보다 구들장을 놓아야 좋은 이유ㆍ506

* 하방이 타지 않으려면 아궁이를 벽체에 가까이 붙여라ㆍ509

* 서양열학의 입장에서 본 구들고래의 차이는?510

* 구들 구조를 철판보일러 주가 같다고 생각 말라ㆍ511

* 대돈고래를 대동고래로 착각하지 말라ㆍ512

* 구들놓기의 성패는?514

* 여내미외 배연구의 크기는?516

권말부록 : 돌집 흙집을 찾아서_519

* 돌집 흙집을 찾아 네팔의 수도 카투만두에 가다ㆍ519

* 돌집 흙집을 찾아 고르카에 가다ㆍ521

* 돌집 흙집을 찾아 딴띠뿌르를 가다ㆍ523

* 돌집 흙집을 찾아 반히라자코트를 가다ㆍ524

* 돌집 흙집을 찾아 툰시콧트에서 하룻밤ㆍ 527

* 돌집 흙집을 찾아 포카라에 도착하다ㆍ529

* 돌집 흙집을 찾아 시내에 나서다ㆍ531

* 돌집 흙집을 찾아 담프스에 가다.532

* 돌집 흙집을 찾아 사랑코트를 오르다ㆍ536

* 돌집 흙집을 찾아 아스탐에 가다ㆍ538

* 돌집 흙집을 찾아 탄센에 가다ㆍ539

          * 돌집 흙집 찾아 시루바리를 가다가ㆍ552

구매: 구들연구소 http://www.gudeul.net/ 

 

 

 
//
 
   

출처 : 참살이 흙집짓기 건축연구회
글쓴이 : 산일 원글보기
메모 :